스크랩/이것저것

[스크랩] 미이라.사체영구보존 기술 "엠바밍"(Embalming)

왕풍뎅이 2011. 3. 27. 15:24

미이라.사체영구보존 기술 "엠바밍"(Embalming)

2009.10.25 07:27 | 시체 영구보전법 | ccooffee

http://kr.blog.yahoo.com/wsshimtw/1030 주소복사

                                                 미이라.사체영구보존 기술 "엠바밍"(Embalming)
                                                                   레닌.스탈린.김일성의 사체...


                                    
※사체영구보존 기술을 영어로는 "엠바밍"(Embalming)이라 하며 
                                               이 사체처리 기술자를 "엠바머"(Embalmer)라고 한다.

                                        
  

                                                     엠바밍  "Embalm-ing" [imbm,em-]은 사전에는
                           시체를 방부(향유.약품 따위로) 처리하다, …을 미이라로 만들다. …을 (그대로) 보존하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엠바밍"(Embalming)이란 서양에서 사체를 소독.보존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복구하여 장기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을 말한다.

 "사체.시신영구보존" 혹은 "사체방부처리기술"으로 생각하면 된다.  여기에는 토장(土葬)이 기본인 서양에서는 사체로부터 전염병의 만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례 치르기 전에 엠바밍을 실시하는 제도가 확립되었다. 


                 
                                                 20세기 초기의 여러가지 사체 방부처리용 액체(embalming fluid)




                                                                    "엠바밍"(Embalming)의 개요 

 인 간이나 동물의 육체는 사후 체내에 있는 자기융해효소 및 육체 내외에 서식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세포 레벨로 급속히 분해(부패)가 시작되며, 여기에 동시진행으로 파리과 곤충의 유충(구더기) 등이 사체를 먹이로 하는 곤충의 섭취활동으로 사체는 빠르게 손상되어 간다.  

 그러나 사체를 먼 곳으로 운반해야 할 경우나 아니면 사체의 장기보존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 전염병으로 죽은 사체는 통상의 보존방법이나 매장방법으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사체 그 자체에서 발생하는 체액과 같은 것에 의한 오염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엠바밍"(Embalming)이란 위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엠바머"(Embalmer)로 불리는 장의 전문 기술자나 의학 자격을 소지한 의료 종사자에 의해 사체(방부)처리를 행하는 화학적.외과적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체 방부처리용 액체(embalming fluid) 탱크



    
                                                             "엠바밍"(Embalming)의 프로세스  

                                          현대의 엠바밍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된다.

Ⅰ전신의 샤워 및 소독처리 
Ⅱ 사체의 표정을 원래대로 보정하고 필요에 따라 수염을 깍기도 한다.
Ⅲ 사체에 적당한 수술을 실시하여 동맥으로부터 방부제를 주입하며 동시에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배출시킨다.
 Ⅳ 복부에 약 1센티 정도 크키의 구멍을 내고 그곳에 강관을 꽂고 흉공.복공부에 남은 체액이나 부패를
      일으키기 쉬운 소화 기관내의 잔존물을 흡입해 제거한다.  또 동시에 이곳들에도 방부제를 주입한다.  
Ⅴ 수술로 절개한 부분을 봉합하여, 사고 등으로 손상 입은 곳이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복구를 실시한다.  
     그 때에 절개한 부분에는 테이프 등을 붙여 눈에 뛰지 않게 한다.
 Ⅵ 다시 전신.모발을 앃고, 유족의 의뢰에 따라 필요한 의복을 입혀, 다시 표정을 고친 다음에 납관한다.

 상 기의 처리를 실시한 사체는 주입한 약품의 농도나 양에 따라 몇 일 혹은 2주간 정도까지 상온에서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그 이상으로 철저한 처리를 실시하게 되면 보존 가능기간을 더욱 늘릴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방부제의 교환 등, 정기적으로 점검.보수.유지의 손질(Maintenance)을 통해 반영구적인 보존도 가능하게 된다. 


                                           Embalming, Dressing, Casketing and Making-Up the Dead

                                        




                                                                   근대의 "엠바밍"(Embalming) 기술  


 예를 들면 러시아 혁명의 지도자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Vladimir Ilyich Lenin)의 사체는 현재도 모스크바 레닌묘에서 생전의 모습인 채 보존.전시되고 있다. 

 또 사체를 정기적으로 성형과 미용을 실시함으로, 마치 고인이 살아서 숨쉬고 있는 듯한 조용한 모습을 연출시켜 유족의 마음을 위로하게 하는 것도 엠바머의 중요한 기술의 하나이다.   ※상기의 엠바밍 기술은 고대 미이라 기술과는 다른 부분이 많다.

 "엠바밍"(Embalming)의 유래는 고대 이집트의 미이라에서부터 잉카제국의 페루 문화, 기원전 고조 유방(劉邦)에 의해서 건국된 중국의 한 왕조(漢)까지 거술러 올라간다.

 근 대의 엠바밍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게 된 계기는 1860년 미국의 남북전쟁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의 교통수단으로는 전쟁으로 희생된 병사의 시신를 출신 고향에 돌려 보내는 데는 긴 기간이 필요하여, 소독하여 부패.악취를 방지하는 사체보존의 기술은 필연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사체 방부처리용 액체 "프랑스산 미르라"  홍해와 아라비아해에 면한 동아프리카 제국에 채취되는 수지.
              이집트에서는 고대부터 사체의 부패처리에 사용되어 왔다. 그 수지에서 채취되는 엑기스는 "기적의 향료"로 불린다.
                                                            업무용 Essential Oil - 100ml  UD$ 245.00-



 엠바밍 기술은 미국.캐나다의 거의 모든 주 그리고 프랑스와 영국에서도 극히 자연스럽게 일반적인 행위로, "죽음 ---> 엠바밍 ---> 장의(장례)"로 확립되었다.  

 특 히 미국에서는 주법에는 이동거리에 따라 엠바밍을 의무적으로 하는 등, 주 레벨의 법이 정비되어, 주법에 따라 엠바밍의 교육.자격제도도 정비되었다.  미국에서는 토장(土葬) 비율이 상당히 높은 남부지역의 엠바밍 비율은 95% 이상에 달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서부지역과 하와이에서는 화장이 점차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기 독교에서는 "최후의 심판" 때 죽은 사람이 부활하는 것을 교의로 하기 때문에, 기독교의 견해로는 화장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1913년에는 체코 카톨릭 교회, 1944년에는 영국 국교회, 1963년에는 프랑스 카톨릭 교회가 "화장은 교의에 위배되지 않는다."라며 화장을 인정하게 되었다.  또 로마 카톨릭 교회는 법령 1203조의 "화장 금지령"을 철폐해, 바티칸의 정식 견해로 "화장은 교의에 위배되지 않는다."라고 발표했다. 



                 
                                                                   현대 장의사 전용의 엠바밍 도구 일체




                                                    "엠바밍"(Embalming)으로 시신이 영구보존된 인물들   



                                    1.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Vladimir Ilyich Lenin, 1870 - 1924)

                                                   
                                                                   핀란드 망명 생활했을 때 변장한 레닌.

                                                                      본문 하단 "Gallery"를 참고. 



                                                         2. 게오르기 디미트로프(Georgi Dimitrov) 

                                                  

 불 가리아 수상.  그의 시체는 부패방지 보존처리가 되어 소피아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박물관(Georgi Dimitrov Mausoleum) 에 전시되었으나, 1990년 불가리아 공산당의 하야와 더불어 소피아 중앙묘지에 매장되어, 박물관은 1999년에 철거되었다.   See Video...! 

       


                                        3. 허를러깅 처이발상(Khorloogiin Choibalsan, 1895-1952)

                                                                  

 몽골 인민 공화국의 정치가.  1929년부터 1930년까지 몽골의 대통령이었으며, 1939년부터 1952년까지 몽골의 총리였다.  도르노드 현(Dornod) 울란바토르의 국립대학교 앞에 처이발상의 동상이 서있다.

 1951 년 12월 스탈린 생일 식전에 참가 요청을 받고 모스크바로 향했다.  그러나 다음해 1월2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암살이라는 설도 있으며, 그의 처는 러시아인으로 남편이 죽자 러시아로 돌아갔으며, 러시아의 스파이었다는 설이 있다.          COMMUNIST MONGOLIA 1924-1990 : LIFE



                                               4.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Joseph Stalin)  

                                                        
                                         스탈린과 게오르기 디미트로프(Georgi Dimitrov), 1963년 모스크바에서



                                                                      Stalin death and funeral

                                   


                      

 옛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 1924년 - 1953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수반을 역임했으며 1950년 6.25 전쟁을 기획했다는 주장도 있다.  집권기간 중 스탈린은 :만능의 천재", "빛나는 태양", "삶의 지주", "위대한 선생이며 친구"로서 찬양을 받았고, 한때는 러시아 정교회의 부주교로부터 공공연히 "우리의 아버지"(Our Father)로도 불렸다. 

 그의 수많은 가명중 하나인 스탈린이라는 가명은 "강철"을 뜻하며, 본래 이름은 이오세프 주가슈빌리.  그는 독살설 외에 침실에서 목졸려 죽임당했다는 설도 있으며, 사후 시신은 미이라화 되어 보존되다가 1992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후 화장 처리되었다.          (Read more : Click Here!)      





                                             5. 크래멘트 고트월드(Klement Gottwald, 1896-1953) 

                                                   

                                                    

 체 코슬로바키아 공산단 지도자.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수상, 동 대통령. 1953년3월9일 스탈린의 장의에서 돌아온 5일 뒤에 죽었다.  심장병과 술 그리고 매독이 원인으로 되어 있다.  사체는 앰바밍 처리되어 영묘에 세워졌었으나, 1962년 철거된 뒤에 사체는 화장(茶毘) 되었다.      




                                                  6. 호찌밍(Ho Chi Minh/胡志明, 1890-1969) 

                                                  

                                  
                     

 베 트남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이다. 북베트남의 총리(1946-1955)와 대통령(1955~1969)을 지냈다.  베트남 독립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을 1945년에 세웠으며, 베트남 전쟁 중인 1969년에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베트남은 1975년 베트남 전쟁으로 통일되었다.




                                                 7. 마오쩌둥(Mao Zedong/毛澤東, 1893-1976) 

                                                  
           
                          
                            
 중화인민공화국정부를 수립한 정치가이자, 중국 공산주의 지도자이다.  마오쩌둥은 정치가일뿐 만 아니라 공산주의 사상가로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시인이나 서예가로서도 유명하다.




                                          8. 아고스티뉴 네투(Antonio Agostinho Neto, 1922-1979)

                                                            

                                                         

                                               앙골라의 시인, 의사, 앙골라 인민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1979년9월 모스크바에서 죽었다.
  



                                    9. 포브스 번햄(Linden Forbes Sampson Burnham, 1923-1985)

                                

                                                                 남아메리카에 가이아나 대통령




                                                              10. 김일성(金日成, 1912-1994)

                                                  

                                                        
        

 독립운동가이자 만주 조선 공산주의 청년동맹, 조선혁명군, 반일 인민유격대(그후 조선 인민혁명군으로 개편) 등을 조직했다.  해방 후 1948년부터 1972년까지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총리, 1972년부터는 인민 공화국 국가주석이었고, 1990년 국가주석에 재선되었다. 

 김일성은 생전에 "만약 내가 죽는다면 대성산 혁명열사릉에 묻히기를 간절히 바란다."라고 하였으나, 죽은 뒤로는 아들 김정일에 의해 엠바밍 처리되어 평양 주석궁전을 개조한 금수산 기념궁전(錦壽山 記念宮殿)에 안치 보존되어 있다.  




                                 11. 마리아 에바 두아르테 데 페론(Maria Eva Duarte de Peron, 1919-1952)
 
                                 

                                                에바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후안 페론의 두번째 부인으로
                                             아르헨티나의 전설적 퍼스트 레이디 애칭인 에비타(Evita)로 불린다.   

                                             
                                                           Madonna - Don't Cry For Me Argentina  

                                                         Elaine Paige - Don't Cry for Me Argentina 
                                  
                                                                                             
                   

                                                                            Embalmed Evita 
                   
                             The embalmed body(Evita) of Argentinian politician Eva Peron (1919 - 1952)


                       
                                                           Dr Ara inspects Eva Peron's embalmed corpse.



                                    Santa Evita - Macabre odyssey of Eva Peron embalmed body.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투탕카멘(기원전 1343년 - 기원전 1325년, 재위 기원전 1334년 - 기원전 1325년)의
                                                             미이라에 사용된 도기로 된 엠바밍 도구의 여러가지들





                                                                        -- G a l l e r y --  

                                                                        Vladimir Ilyich Ulyanov

                          
                                                                                만년의 레닌. 1923년 


 소 비에트 연방 건국자 레닌은 사후에 시체보존(시신방부) 처리되어 지금도 그 사체는 레인묘에 안치된 것으로도 유명하다.  레닌묘에 들어가면 몇 번이나 금속 탐지기를 거쳐야 하고, 카메라 휴대 금지이다.  그 사체를 부패하지 않도록 유지.관리의 손질(Maintenance)하고 있는 사진을 공개.소개한다. 

 
           ※단, 공개에 앞서 Grotesque(프:그로테스크)한 것에 민감한 독자는 열람을 통과하거나 주의하시길 바란다.




                    
                                                                            Lenin’s tomb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Vladimir Ilyich Lenin, 1870 - 1924)  

                 

 사 회주의 혁명(러시아 혁명)을 최초로 성공시킨 러시아 정치가.  러시아 공산주의 정당인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의 지도자였으며 소비에트 연방의 초대 수상이었다.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킨 레닌주의의 창시자이자, 마르크스 이후 가장 위대한 혁명사상가인 동시에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혁명지도자로 인정받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레닌"이라는 이름은 혁명가로서 그가 사용하던 가명이었으며 본명은 블라디미르 일리치 울리야노프(Vladimir Ilyich Ulyanov)이다.  그는 매독으로 사망설했다는 설도 있다. (Read More...! chosun.com & 쿠키뉴스)




                                       이 작업은 러시아 "엠바밍 전문 과학자"들에 의해 실시된다.

                                                                             
                        

                                Embalming Fluid(사체 방부처리용 액체)에 전신에 침투되도록 담가둔다.
                                                             약 1년에 한 번씩 매년 반복한다.
                                         


                         
                                                                           사진 2 : 공백

                                                                         흉부에 구멍이 보인다. 
                                                     처음 이곳에서 부패하기 쉬운 장기를 적출했다.  



                          
                           
                                                                             사진 3 : 공백

                                                             액체를 몸 내부까지 충분히 침투시킨다.
                             액체에서 꺼내는 작업으로 형태가 일그러 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타올로 시신의 물기를 닦아낸다.                        
                                    

                            
                          

                                                    자세히 보면 텃 수염과 콧 수염이 선명히 그대로...
                                     가운으로 감싸고, 마치 샴푸의 뒤의 머리카락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옷을 입힌다.  

                                                                        그리고 사체를 깨끗히 하여
             여기서부터 마치 고인이 잠들고 있는 것 같이 보이도록 훌륭하게 연출하는 것이 "엠바버"의 솜씨이다.



            

                                                                                레닌묘 



                                                                  Lenin sleeps - Ленин спит

                                      


                                         

                                         

                                                                          레닌묘에 안치된 시신. 
                                              적당한 조명의 연출을 받아 진짜 잠들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원래 여기에 소개하는 레닌.스탈린.김일성 등의 "사체 영구보존"의 엠바밍 기술은
                                           구소비에트 연방에서 확립되어 개발된 기술의 하나이다
.


                                                  "레닌 시신 매장을" 러 여론조사 국민 70% 찬성
 사족(蛇足) : 2011년1월25일, 모스크바 심장부에 전시 중인 공산 혁명의 상징 블라디미르 레닌의 시신 매장 여부를 묻는 여당 주도의 여론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70%가량은 매장에 찬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이 "굿바이레닌"(www.goodbyelenin.ru) 사이트에서 진행 중인 여론조사에는 24일 오후 3시 현재 총 24만 7726명이 참가했으며, 이 가운데 69.2%에 해당하는 17만 2475명이 매장에 찬성하고, 7만 5251명이 반대했다.

 레 닌의 시신 매장 논란은 1991년 소련이 붕괴된 이후 그의 사망일(1월 21일)이 돌아올 때마다 반복됐지만, 이번에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  여당이 매장을 "작심하고" 주도하고 있다.  반면 레닌의 뒤를 잇고 있는 공산당은 "조사가 조작된 것"이라며 맹비난했다.




                                                 또 다른 엠바밍에 의해 영구보존된 수녀의 모습
                                            프랑스 루르드(Lourdes)의 성 베르나데뜨(St.Bernadette)      
            
 
 이 곳은 스페인과 프랑스의 국경에 있는 피네레 산맥에 있는 루르드(Lourdes)는, 1858년2월11일 마을에 사는 14살 소녀 베르나데트 수비루가 교외의 맛사비에르 동굴 근처에서 땔감을 줒고 있을 때에 처음으로 루르드의 성모가 발현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진 결과, 루르드는 매우 중요한 그리스도교 성지 순례 장소 가운데 한 곳으로 탈바꿈하였다.


              File:Bernadette Soubirous.png File:Bernadette soubirous 2 publicdomain.gif 
                                           베르나데트 수비루(Bernadette Soubirous/Saint Bernadette of Lourdes)

 이 사진은 지금으로부터 122년전에 프랑스 루르드(Lourdes)에서 죽어 묻혀진 성 베르나데뜨(St.Bernadette)의 사진이다.  교회가 이 시신을 발견하고 공개를 검토하기 시작한건 불과 30년밖에 되지 않았다.  수녀의 시신은 지금까지도 마치 살아있는 듯한 모습과 같다.  이 미이라는 프랑스 lourdes에 있는 교회에서 수녀의 시신직을 볼 수 있다.


                                    
                                                                  주름하나 없는 완벽한 미이라             

 일 설에 따르면 수녀의 시신이 썩지 않는 이유는, 그녀의 일생동안 예수의 어머니 가 그 수녀에게 매일같이 나타나 메시지를 전달하고 모든 인류에게 지구에서 똑바로 살으라고 조언을 해주었기 때문이다.  Lourdes에서 지금까지 수많은 의학적 기적이 일어났고 오늘날까지도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적은 카톨릭 교회에서는 "기적적 치료"를 인정하지는 않고 있다.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엄밀한 조사와 의학자들의 과학적 증명을 필요로 한다.


                                                                      Lenin Internet Archive         

                                            한 번 보면 잊을 수 없는 영원한 미이라 "Sleeping Beauty" 비밀

 

                                                                      - Posted by ccooffeeLog -

저작자 표시

 

 

 

 

 

 

 

 

 

 

 

 


출처 : 한류열풍 사랑
글쓴이 : 꾸룩꾸루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