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시 댓글로 달아주세요
한국사전 2008. 10. 18
역사는 천추태후를 욕망에 눈 먼 음탕한 여자로 기록하고 있다
외세의 침략을 받지 않는 등 안정된 시기를 구가했다
천추태후
그녀는 왜 역사를 외면을 받아야 했던 것일까?
일본의 교토국립박물관 대보적경 변상도
1006년에 그려진 대보적경 변상도는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대보적경은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을 하나로 묶어 정리한 것으로 주로 왕실과 백성의 안위를 빌고 자신들의 성공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경을 한 왕태후 황보씨와 김치양
바로 고려 7대왕 목종의 어머니 천추태후
-
더욱 놀라운 것은 경종은 왕건의 손자
어떻게 이런일이 가능했던 것일까?
또다른 중요한 사실을 발견 할 수 있다 왕의 혼인은 특정 가문들과 이루어졌다
왕후를 네명이나 배출하며 막강한 위세를 떨치고 있었다
왕건의 손녀이자 쟁쟁한 지방 호족세력의 외손으로 경종의 비가 된 천추태후 그녀는 경종의 다섯 왕비들 중에서 가장 먼저 아들을 낳는다
왕후에서 왕태후로 그녀의 운명이 달라지는 듯 했다 그런데 예기치 않은 일이 찾아온다
급작스러운 경종의 죽음 천추태후가 아들을 낳은지 불과 1년만에 경종이 세상을 뜬 것이다
당시 천추태후는 겨우 18살 누가 경종의 뒤를 이을 것인가?
경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이는 성종
궁궐에 남아 성종의 손에 자라게 됐다 이때 그녀의 곁에 한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천추태후의 외척이었다
천추태후의 여동생 헌정왕후에게도 정을 통하던 한 남자가 있었다
헌정 왕후는 결국 죽음을 맞았고 천추태후는 간통한 불륜한 여자로 낙인 찍히고 말았다
천추태후의 애인인 김치양또한 패륜아로 기록되었다
남편을 잃고 다른 남자와 정을 통했다는 이유로 불륜한 여자의 대명사가 된 천추태후
-
천년 전 송나라 사신이 크게 놀랐을 만큼 고려의 문화는 매우 자유롭고 개방적이었다
고려시대 여성들은 수절을 강요받지 않았다
수비 권씨는 이미 한번 결혼을 했다가 이혼을 하고 다시 충숙왕의 비가 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와는 달리 여성의 지위가 보장되고 여성의 성이 억압당하지 않았던 고려시대 그러나 천추태후만은 끝내 불륜한 왕후로 기록되고 있다
고려사는 조선초기 유학자들에 의해 쓰여진 역사서이다 헌애왕후의 행동은 결코 용납 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
16년 전 성종에게 왕위를 양보해야했던 천추태후의 아들이었다
권력의 중심으로 화려하게 부활한 천추태후
그녀는 섭정을 시작하자마 가장 먼저 귀양중이던 김치양을 궁궐로 불러들인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권세는 화려했다
목종도 어찌 할 수 없을 정도였다
패서지역의 호족지역들은 광종 후반기 왕권 강화를 위한 개혁과정에서 대부분 숙청되고 중앙정치에서 소외 되어 있었다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확보하고자 했다
결집에 기존 중앙관료들의 불만은 더욱 커져갔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을 향한 비난이 쏟아졌다
천추태후와 적대적 관계에 있었던 이들
-
유교식 정치체제로 나라를 개혁하고자 했다
성종 대 유학자들이 추구했던 중국식 유교정치체제는 내부적으로 황제국을 지향했던 고려의 위상을 스스로 제후국으로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서' 라는 용어를 '교서' 라고 바꾸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제국을 지향했던 고려는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 궁궐의 형태에서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고려시대 궁궐에는 총 5개의 문이 있었다
건국 이래 고려의 중요한 국가적 행사였던 팔관회
태조 왕건때 호국의 뜻을 새기고 복을 비는 국가 행사로 발전했다
유교적이지 못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고려의 엑스맨...)
고려인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일 이었다
성종의 급격한 중국화 정책에 큰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천추태후는 또한 대 고구려 제국의 부활을 꿈꿨던 태조 왕건의 정신을 이어받고자 했다
태조 왕건이 북진정책을 추진하면서 그 중심기지로 삼았던 곳이다
호경을 중심으로 주나라를 통일 한 것처럼 서경을 강화해 고려를 일으키겠다는 천추태후의 의지였다
밖으로는 급변하는 동북아 국제 정세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었다
중국대륙을 넘보는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고려를 먼저 공격해 송과의 관계를 끊어놓은 후 송을 치겠다는 계획이었다
천추태후는 신흥세력인 거란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고려 북방의 안정을 꾀하는 실리적인 선택을 했다
한편 고려는 거란의 1차 침입 이후 외교관계를 단절했던 송과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
유교를 바탕으로 고려의 체제를 바꾸고자 했던 유학자들
바로 대량원군
이들의 결집에 결정적 빌미가 된 한 사건이 있었다
목종 6년(1003년)
천추태후가 김치양의 아들을 낳은 것이다
유학자들은 이 아이가 장차 왕위에 오를 수도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고려 왕조를 부정하는 일 이었다
천추태후는 결단을 내려야만 했다
천추태후는 결국 대량원군을 승려로 출가시켜 보냈다
이는 당시 정적제거의 주요 수단이었다
천추궁이 불길에 휩싸였다 천추궁 옆 기름창고에서 난 불이 옮겨 붙어 발생한 화재였다
화재가 있은 후 궁궐에는 계엄령이 선포됐다
그가 정변을 계획하고 천추궁에 불을 질렀다는 것이다 정변의 주도자로 지목된 것은 ' 김치양 '
이것이 과연 사실일까?
-
강조는 목종이 이미 죽었고 김치양이 왕위를 노리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출병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미 군사를 일으켰기 때문에 되돌리기엔 때가 늦었다고 판단한 강조는 결국 궁으로 입성한다 (뭐야.... 얼떨결에 쿠데타냐.... ㄱ-)
그는 김치양 부자와 그 측근 세력들을 모두 죽였다 천추태후의 친척 30여명은 섬으로 귀양보냈다
그리고 끝내 목종 마저 폐위시킨다 강조의 쿠데타로 결국 목종과 천추태후의 세력은 제거되고 왕위에 오른 이는 바로 대량원군 이었다
쿠데타에 실제 배후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바로 유학자들 이었다
대 고구려제국의 부활을 꿈꾸며 고려의 역사를 새롭게 쓰고자 했던 천추태후
천추태후는 66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생을 마쳤다
자유롭고 당당했던 한 여자로서,
그러나 유학자들과의 갈등 속에서 천추태후는 끝내 불륜한 여자로 기록된 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승자에 의해 쓰여진 역사에서 천추태후의 정치적 업적들은 모두 철저히 외면당했다 윤리적이지 못하고 세속적인 왕후로 매도당했던 천추태후
그러나 천추태후는 음탕한 여자도 권력에 눈이 먼 여자도 아니었다
그녀는 고려 500년을 통해 여성으로서 가장 강력한 정치권력을 행사한 고려 최고의 여걸이었다
+ 오타나 맞춤법 지적 환영합니다 사진이나 음악이 제대로 안나오면 말씀 해주세요
+ 전 편 들은 각각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 1부 " 밥은 백성의 하늘이다 " http://cafe.daum.net/SoulDresser/4Zux/301769 세종대왕 2부 " 소리가 하늘이다 " http://cafe.daum.net/SoulDresser/4Zux/301822 광해군 " 명분인가 실리인가, 고독한 왕의 투쟁 " http://cafe.daum.net/SoulDresser/4Zux/301973 고구려 여인 우씨 " 두번 왕후가 되다 " http://cafe.daum.net/SoulDresser/4Zux/302777 공민왕과 노국공주 " 신화가 된 사랑 " http://cafe.daum.net/SoulDresser/4Zux/303061
+ 다음 편은 " 새로운 조선을 꿈꾸다, 소현세자빈 강씨 " 편 입니다
혈압 올라서 ㅅㅂ을 연발하시게 될겁니다................... 마음의 준비와, 청심환이랑 냉수 하나 준비하..
+ 원래 춘추태후 편은 흥미진진하고 재밌어야 되는데 이번 편은 좀 지루하네요..ㅠㅠ 그래도 재밌다고 해주시는 분들 덕에 힘내서 열심히 편집하고 있습니다
댓글 달아주시는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 (하나도 빠짐 없이 다 보고 있어요!)
|
'스크랩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비 윤씨 권력남용 벽서 나붙자 권력이양 결심하다 (0) | 2010.02.22 |
---|---|
[스크랩] [한국사전] 새로운 조선을 꿈꾸다 " 소현세자빈 강씨 " (이거슨 고혈압과 쌍욕을 부르는 글ㅋㅋㅋ스피커on) (0) | 2010.02.16 |
[스크랩] [한국사전] 신화가 된 사랑 " 공민왕과 노국공주 " (진정한 사랑은 이런거돠!! 뽜이야!!! 스압&스피커on ) (0) | 2010.02.16 |
[스크랩] [한국사전] 고구려 여인 우씨, 두 번 왕후가 되다!! (시작은 달콤하게 평범하게 스압과 스피커On) (0) | 2010.02.16 |
[스크랩] [한국사전] 일본의 비불로 환생하다 " 백제 성왕 " (엣지 충만한 스압. 역사는 쉽게!재밌게!스피커 On) (0) | 2010.02.16 |